Web/JQuery

[jQuery] 다운로드및 사용

클리엘 2020. 5. 30. 02:01
728x90

jQuery는 일관되며 좀 더 쉬운 방식으로 다양한 웹브라우저에서 HTML 문서를 다루고자 만들어진 프레임워크입니다. Javascript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jQuery를 사용하는 것이 본래 Javascript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표에 접근하기 훨씬 쉬운 방법입니다. 다만 근래에는 jQuery를 대체할 수 있는 많은 프레임워크가 등장하고, jQuery에 관한 여러 이슈들이 부각되면서 jQuery를 배제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있습니다.

 

jQuery를 사용하려면 아래 사이트에 접속합니다.

 

https://jquery.com/ 

 

jQuery

What is jQuery? jQuery is a fast, small, and feature-rich JavaScript library. It makes things like HTML document traversal and manipulation, event handling, animation, and Ajax much simpler with an easy-to-use API that works across a multitude of browsers.

jquery.com

위 사이트를 방문한 후 상단에 Download를 눌러줍니다.

 

직접 내려받아 사용하는 것과 CDN을 통해 사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내용들이 나와 있는데 어떤 것이든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 됩니다.

 

20년 5월 현재 시점에 최신버전은 3.5.1이며 직접 내려받아 사용하는 경우 compressed 버전과 uncompressed 버전 2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 굳이 jQuery의 소스코드를 보거나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없다면 좀 더 용량이 낮은 compressed 버전을 내려받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ajax와 각종 효과 기능이 제거된 slim버전도 있으니 관련 기능이 필요 없다면 slim버전도 괜찮습니다.

 

CDN을 통해 jQuery를 사용하기로 했다면 안내된 내용대로

 

https://code.jquery.com

 

jQuery CDN

The integrity and crossorigin attributes are used for Subresource Integrity (SRI) checking. This allows browsers to ensure that resources hosted on third-party servers have not been tampered with. Use of SRI is recommended as a best-practice, whenever libr

code.jquery.com

사이트를 방문하면 됩니다. 그외 Google이나 Microsoft 등도 jQuery의 CDN 서비스를 제공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CDN의 경우 각각 1.x와 2.x, 3.x 버전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인터넷 익스플로러 8 버전 이하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면 3.x버전 사용을 권장합니다.

 

원하는 버전을 클릭하면

 

위와 같이 사용가능한 주소가 나오는데 저 주소를 그대로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.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	<meta charset="utf-8">
	<title></title>
	<script  src="https://code.jquery.com/jquery-3.5.1.js" integrity="sha256-QWo7LDvxbWT2tbbQ97B53yJnYU3WhH/C8ycbRAkjPDc=" crossorigin="anonymous"></script>
	<script>

	</script>
</head>
<body>
	
</body>
</html>

참고로 상기주소에서 사용된 integrity나 crossorigin을 SRI 해시(Subresource Integrity Hash)라고 하며 code.jquery.com/jquery-3.5.1.js에 접속하여 스크립트를 가져올 때 정말 jquery.com에서 가져오는 스크립트인지를 확인하게 되므로 좀 더 안전하게 스크립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.

 

로컬에서 시험삼아 공부해 보거나 자체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되도록이면 직접 내려받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 이를 위해 Download 링크를 클릭하면

 

Download the compressed, production jQuery 3.5.1

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 위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. js 파일을 만들어 붙여 넣습니다. 그리고 파일을 적당한 위치에 놓은 다음다음과 같이 정확한 jQuery파일의 위치를 지정해 주면 됩니다.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	<meta charset="utf-8">
	<title></title>
	<script src="/scrips/jquery-3.5.1.js"></script>
	<script>

	</script>
</head>
<body>
	
</body>
</html>

문서가 웹 브라우저에 완전히 로드되었을 때의 이벤트를 javascript에서는

window.onload = function() {
	alert('완료');
};

이와 같이 했다면 jQuery에서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.

$(document).ready(function() {
	alert('완료');
});

//혹은

$(function () {
	alert('완료');
});

이때 $표시는 jQuery를 의미합니다. jQuery내부에서

window.jQuery = window.$ = jQuery;

위와 같이 처리하고 있으므로 jQuery를 사용할 때 $와 jQuery는 동일하게 취급됩니다.

jQuery(function () {
	alert('완료');
});

만약 다른 문자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할 수도 있으며

var j = jQuery;

j(function () {
	alert('완료');
});

특히 명시적으로 $ 문자를 더이상 사용하지 않음을 강제하고자 한다면 극단적으로 다음과 같이 할 수도 있습니다.

$.noConflict();
var j = jQuery;

j(function () {
	alert('완료');
});

예제에서 사용된 noConflict() 메서드는 jQuery의 식별자로 $ 문자를 더이상 사용할 수 없도록 합니다.

 

이제 jQuery를 사용할 준비가 끝났습니다.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