람다식
![[C#] 람다식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hFxBk%2Fbtrh9CVb30G%2FkzvzGpwr1Ltx1eIQ0VR6sK%2Fimg.png)
[C#] 람다식
람다식은 메서드(함수)를 최대한 간결하게 표시하는 방법을 말하며 무명 함수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. class Program { delegate int Cal(int i, int j);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Cal c = (i, j) => i + j; WriteLine(c(100, 200)); } } 예제에서 Cal 대리자는 무명 함수를 위해 선언되었으며 '(i, j) => i + j;' 부분이 함수의 매개변수와 본문입니다. 이처럼 매개변수와 함수의 실행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데 => 연산자가 매개변수로 전달된 값을 실행 부분으로 옮겨주는 역할을 합니다. 매개변수는 '(i, j)'로 간결하게 작성되었는데 본래 '(int i, int j)'와 같이 데이터 타입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