클리엘
CLIEL LAB
클리엘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514) N
    • Mobile (47)
      • Kotlin (47)
    • Web (84)
      • NestJS (9)
      • HTML5 & CSS3 (38)
      • Javascript (20)
      • TypeScript (6)
      • JQuery (11)
    • .NET (301) N
      • C# (84) N
      • ASP.NET (67)
      • Windows API for .NET (128)
    • Server (53)
      • SQL Server (10)
      • MariaDB (18)
      • Windows Server (6)
      • node.js (19)
    • System (12)
      • 작업LOG (12)
    • Review (11)
    • ETC (6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  • 블로그 정리

인기 글

태그

  • 변수
  • .NET
  • node.js
  • c#
  • Windows API
  • MariaDB
  • JavaScript
  • NestJS
  • CSS3
  • exception
  • jQuery
  • asp.net core
  • android studio
  • asp.net core web api
  • HTML5
  • ASP.NET
  • Kotlin
  • Entity Framework
  • LINQ
  • android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클리엘

CLIEL LAB

System/작업LOG

[2020-01-22] Cent OS 설치및 ssh, 네트워크 설정 / WSL 설치

2020. 1. 22. 17:45
728x90

1. Cent OS 내려받기

- Cent OS 7.7이 가능한 안정 버전이라고 판단 http://mirror.navercorp.com/ 여기서 내려받음(속도가 가장 좋음)

 

2. Hyper-V에서 Cent OS 설치

- 가상 머신은 2세대로 생성, 이때 Serure Boot(보안 부팅)은 해제하고 펌웨어에서 부팅 우선순위를 DVD에 놓음(물론 DVD는 생성해야 함)

- 메모리 2기가에 하드디스크 60기가 정도로 맞춤

- 위에서 내려받은 ISO 파일을 DVD에 포팅시키고 부팅 시작

- 파티션은 자동으로 설정

- 네트워크 어댑터 사용으로 설정

- 로그인 계정은 root로 암호는 늘 먹던 걸로...

 

3. 윈도 10에서 관리 목적의 WSL(Windows Subsystem for Linux)을 설치(Ubuntu 18.4 LTS)

- 사용 편의를 위해 기본 계정을 root로 설정 (cmd에서 'ubuntu config --default-user root(사용자명)' 명령 내림)

- 설치 시 추가한 사용자는 wsl에서 'userdel -rf (사용자명)'으로 삭제

 

4. Cent OS 설치 이후

- 버전 확인 (cat /etc/*release*)

- 원격 접속을 위한 ssh 설치 (#yum install openssh-server openssh-clients openssh-askpass), clients는 필요 없을 것 같기는 한데.. 일단 설치는 해두자

- wsl에서 ssh 설치 (어라? 설치되어 있네... 패스!)

- vi로 /etc/ssh/sshd_config 파일 열어서 Post 22 주석 해제

- Cent OS의 방화벽도 내리자 (#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port=22/tcp)

- wsl에서 Cent OS로 ssh 접속해보자 (#ssh [ip])

 

5. Cent OS 네트워크 설정

- ipconfig로 설정사항 확인

- route로 게이트웨이 확인

- 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xxx 명령어로 설정 파일 오픈 (xxx이름은 네트워크 어댑터 이름으로 다를 수 있음)

- 다음 내용 수정

BOOTPROTO=static (DHCP를 통해 IP를 받아오지 않고 직접 설정)

IPV6INIT=no (IPv6은 사용을 해제)

ONBOOT=yes (부팅 시 등록된 IP 설정을 적용)

IPADDR=xxx.xxx.xxx.xxx (IP)

NETMASK=xxx.xxx.xxx.xxx (넷마스크를 설정)

GATEWAY=xxx.xxx.xxx.xxx (게이트웨이)

DNS1=xxx.xxx.xxx.xxx (DNS서버 등록)

- 서비스 재시작

service network restart

728x90
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(새창열림)

'System > 작업LO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2020-02-19] CentOS-MariaDB MHA 원복하기  (0) 2020.03.03
[2020-02-19] CentOS-MariaDB MHA 테스트  (0) 2020.02.28
[2020-02-07] CentOS-MariaDB Replication / MHA 설치및 설정  (2) 2020.02.28
[2020-01-28] MySQL Replication - DBMS 단방향 이중화  (0) 2020.01.28
[2020-01-23] RPM과 Yum의 이해 / MariaDB 설치  (0) 2020.01.23
    'System/작업LO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2020-02-19] CentOS-MariaDB MHA 테스트
    • [2020-02-07] CentOS-MariaDB Replication / MHA 설치및 설정
    • [2020-01-28] MySQL Replication - DBMS 단방향 이중화
    • [2020-01-23] RPM과 Yum의 이해 / MariaDB 설치
    클리엘
    클리엘
    누구냐 넌?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