클리엘
CLIEL LAB
클리엘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514) N
    • Mobile (47)
      • Kotlin (47)
    • Web (84)
      • NestJS (9)
      • HTML5 & CSS3 (38)
      • Javascript (20)
      • TypeScript (6)
      • JQuery (11)
    • .NET (301) N
      • C# (84) N
      • ASP.NET (67)
      • Windows API for .NET (128)
    • Server (53)
      • SQL Server (10)
      • MariaDB (18)
      • Windows Server (6)
      • node.js (19)
    • System (12)
      • 작업LOG (12)
    • Review (11)
    • ETC (6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  • 블로그 정리

인기 글

태그

  • android
  • android studio
  • MariaDB
  • 변수
  • Kotlin
  • Entity Framework
  • NestJS
  • .NET
  • exception
  • CSS3
  • asp.net core
  • asp.net core web api
  • jQuery
  • c#
  • Windows API
  • HTML5
  • JavaScript
  • LINQ
  • node.js
  • ASP.NET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클리엘

CLIEL LAB

System/작업LOG

[2020-01-23] RPM과 Yum의 이해 / MariaDB 설치

2020. 1. 23. 11:47
728x90

1. CentOS 설치

- 이전날과 동일한 조건으로 설치 (IP 설정 부분만 다르게 설정)

- 이전날 설치OS를 CentOS1으로 오늘 설치한 OS를 CentOS2로 함. (MHA 테스트를 위해)

 

2. RPM과 Yum

- RPM은 ReadHat Package Manager의 약자로 리눅스에서는 프로그램단위를 패키지(확장자가 rpm)라고 하며 패키지를 시스템에 설치함, 삭제나 기타 다른 동작도 RPM을 통해서 이루어짐. 단 RPM에서는 패키지설치를 위해 그 패키지에서 필요한 요소 즉, 다른 패키지를 각각 따로 받아 설치해야함.

- Yum은 RPM의 패키지의존성을 해결한 것으로 필요한 요소를 저장소에서 모두 자동으로 받아 설치함.

 

3. CentOS에 MariaDB설치

- MariaDB 다운로드는 여기서 가능 (https://downloads.mariadb.org/)

- 현재 MariaDB는 10.5까지 있으나 안정화 버전은 10.4이므로 10.4를 설치하기로함

 

- yum의 Repository를 설정 (굳이 위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음, 안정화 버전 설치를 위한 Repo생성)

#curl -sS https://downloads.mariadb.com/MariaDB/mariadb_repo_setup | sudo bash

 

- MariaDB 설치 (클라이언트말고 서버만 설치)

#yum install MariaDB-server

 

- MariaDB 설치확인

#rpm -qa | grep MariaDB

 

- OS부팅시 자동시작 설정

#systemctl enable mariadb

 

- MariaDB 서비스 시작

#systemctl start mariadb

 

- MariaDB 설정

#mysql_secure_installation

= unix_socket athorization (시스템과 mysql의 root계정을 동일시 할것인가?) 사용여부 (y)

= root 패스워드 설정여부 (n)

= anonymous users 삭제여부 (y)

= 원격지 root 로그인 비허용여부 (n)

= test db 삭제 여부 (y)

= 위 설정내용 적용 여부 (y)

 

- MariaDB 외부접속을 위한 방화벽 처리

#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port=3306/tcp

 

- 방화벽 재시작해야 적용됨

#firewall-cmd --reload

 

- MariaDB접속 후 root 계정으로 MariaDB 외부접속 허용

#grant all privileges on *.* to root@'%' identified by '[패스워드]';

= 허용전으로 되돌림

#delete from mysql.user where host='%' and User='root'; flush privileges;

728x90
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(새창열림)

'System > 작업LO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2020-02-19] CentOS-MariaDB MHA 원복하기  (0) 2020.03.03
[2020-02-19] CentOS-MariaDB MHA 테스트  (0) 2020.02.28
[2020-02-07] CentOS-MariaDB Replication / MHA 설치및 설정  (2) 2020.02.28
[2020-01-28] MySQL Replication - DBMS 단방향 이중화  (0) 2020.01.28
[2020-01-22] Cent OS 설치및 ssh, 네트워크 설정 / WSL 설치  (0) 2020.01.22
    'System/작업LO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2020-02-19] CentOS-MariaDB MHA 테스트
    • [2020-02-07] CentOS-MariaDB Replication / MHA 설치및 설정
    • [2020-01-28] MySQL Replication - DBMS 단방향 이중화
    • [2020-01-22] Cent OS 설치및 ssh, 네트워크 설정 / WSL 설치
    클리엘
    클리엘
    누구냐 넌?

    티스토리툴바